블로그 이미지
모르는남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2)
일상 (0)
(0)
음악 (6)
생각 (1)
e-business (13)
야생 (2)
냠냠 (0)
Total
Today
Yesterday

살면서 처음으로 본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평소에 뮤지컬에 전혀 관심 없던 나에게 뮤지컬 노래를 흥얼거리게 만들었다.
오페라의 유령은 전곡이 다 좋지만 그 중에서 특히 좋아하는 곡.
이게 아마 크리스틴이랑 에릭의 좋은 시절에 들어가던 노래였던가?



한국어 버전
양준모-The Music Of The Night




 
Posted by 모르는남자
, |

U-헬스케어

e-business / 2011. 4. 8. 14:40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면서 '건강한 삶'을 누리기 위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 의료비 지출 또한 따라서 증가하게 된다.

한국인들의 의료비 지출은 매년 불어나고 있다. 삼성경제 연구소에 따르면 한국의 1인당 의료비는 2000년 53만 8366원에서 2008년 137만2000원으로 2.5배 증가했다. 국내 만성질환자 수는 매년 평균 18%씩 증가했다. 주요 만성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건강보험실 진료환자 수는 2006년 1021만명, 2007년 1083만명, 1008년 1130만명으로 2년만에 100만명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건강보험 진료비 역시 2006년 8조5천억원, 2007년 10조5천억원, 2008년 12조1000억원으로 2년만에 42%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의료비 증가수준은 OECD 평균의 3.5배다.



의료비 절약을 하면서도 효율적인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U-헬스케어'이다.
u헬스케어란 IT를 의료산업에 접목시켜 언제 어디서나 이용가능한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를 이르는 말이다.

u헬스케어는 크게 'u-hospital', '홈&모바일 헬스케어', 'u웰니스'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u-hospital은 진료, 수술, 처치 등의 의료행위와 진료예약 , 수납, 처방 등을 통신기술을 사용해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홈&모바일 헬스케어는 언제 어디서나 만날 수 있는 가상의 개인 주치의라고 할 수 있다. 가정에 설치된 장비나 스마트폰같은 휴대장비를 이용하여 환자의 생체 정보 및 환경 정보를 수집하며 이를 의사에게 자동으로 보고하여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u웰니스는 질병의 치료가 아니라 건강 유지를 위해 제공되는 IT 서비스이다. 아이폰의 나이키 어플리케이션이 대표적 예라고 볼 수 있다. 운동량, 칼로리 등을 관리해주게 된다.

미국의 NASA와 HP를 비롯한 여러 기업에서는 '입는 컴퓨터'를 활용해 생체 신호 분석을 하여 건강정보를 송.수신하는 장비를 개발하고 있다. 또한 IBM은 구글과 함께 혈당측정기나 혈압모니터 같은 장비에서 구글 헬스 또는 다른 개인건강기록시스템으로 정보를 자동전송하는 플랫폼을 개발했다.

u헬스케어는 시간과 비용을 들여 병원을 찾아가서 의료 서비스를 받는 것이 아니라,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해 언제나 곁에 존재하고 쉽게 의료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더욱 건강한 삶을 영위하며 의료에 들어가는 비용으로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1]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1102090030

[2] http://ko.wikipedia.org/wiki/U-Nursing

[3] 김원석, [스마트빅뱅, 스마트라이프 시대](8) 스마트헬스케어, 전자신문, 2011.3.21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1103180030

'e-busin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정부  (0) 2011.05.13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  (2) 2011.04.29
webOS  (0) 2011.04.01
스마트 워크(Smart Work)  (4) 2011.03.24
소셜커머스의 몇가지 비즈니스 모델  (0) 2011.03.17
Posted by 모르는남자
, |

webOS

e-business / 2011. 4. 1. 08:21

-webOS란 무엇인가?

WebOS는 기존의 OS(윈도우, 도스)같은 별도의 하드디스크 같은 저장공간이 필요한 OS와는 다르게 웹 기반으로 운용되는 OS이다. 웹 브라우저 상에서 구동되는 여러 어플리케이션의 집합이라고 볼 수 있으며 기존의 오프라인 데스크탑 PC를 대신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도식화하면 위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겠다.   

이전에 언급한 스마트워크가 클라우드 컴퓨팅의 등장으로 인해 가능했듯이, 웹OS 역시 클라우드 컴퓨팅의 등장으로 인해 개발 되었다. 




   웹OS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설치가 필요없다.
    대부분의 컴퓨터 유저가 윈도우를 설치하느라 애 먹은 경험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웹OS에서는 그런 고생을 하지 않아도 된다. 별도의 설치가 필요없이 웹에 접속하기만 하면 된다.
  2. 비용이 저렴하다.
    윈도우나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같은 경우 프로그램의 가격이 상당한 편이다. 학생의 입장에서는 구매해서 쓰기엔 꽤나 부담스러운데 웹OS는 대부분이 무료다.
  3. 다양한 기기로 이용가능하다.
    웹 기반으로 실행되므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할 수 있는 기기에선 모두 실행 가능하다. 데스크톱, 노트북, 스마트폰, 스마트 탭 모두 가능한 것이다.
  4. 웹 브라우저를 돌릴 수 있을 정도의 컴퓨터 사양만 있으면 된다.
    윈도우 같은 경우는 버전업 되면서 요구 사양이 매번 올라갔는데, 웹OS는 웹 브라우저만 돌릴 수 있는 사양이 되면 실행에 있어서 아무 무리가 없다.

 

반면에 다음과 같은 단점도 있다.

  1. 불안정한 네트워크에 의존한다.
  2. 서버에 정보와 문서가 저장되므로 정보유출이 발생할 수도 있다.
  3. 화려한 GUI를 기대하기 힘들다.

 

 현재 대표적인 웹OS로는 구글의 크롬OS를 들 수 있다. 구글만 웹OS를 개발 하는 것은 아니고 HP도 Palm을 인수해 웹OS를 기반으로 자신들의 사업을 확장해나가는 중이다. 그리고 Glide, EyeOS등 많은 웹OS들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유저들의 반응이 아직 썩 좋지는 못하고 실제 유저 또한 많지 않은데, 아직까지 웹OS는 데스크탑 OS를 모방하려고 하는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고 고차원의 GUI를 제공하기엔 네트워크의 속도가 느리기 때문이 아닐까로 생각된다. 점점 네트워크 속도도 발전을 해서 이미 일부 지역에서는 1Gbps 회선을 시범 서비스 중에 있는데 이것이 널리 상용화 된다면 웹OS도 따라서 발전할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REFERENCE

[1] http://en.wikipedia.org/wiki/Web_operating_system

[2] WebOS의 미래, http://www.joinc.co.kr/modules/moniwiki/wiki.php/Site/Google/Service/WebOS

[3] Web에서 OS가 구동되다니, http://revival.mireene.com/blog/466/

[4] WebOS 10개 총정리, http://entclicblog.tistory.com/220

[5] WebOS가 IT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http://www.smartplace.kr/blog_post_104.aspx

[6] 도안구, 클라우드 붐 따라 10Gbps 시대도 성큼, http://www.bloter.net/archives/37498, 2010.8.27

[7] 한만혁, 100Mbps도 답답해 '기가인터넷 시대 열린다', http://www.ebuzz.co.kr/content/buzz_view.html?ps_ccid=85892, 2010.8.16

'e-busin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  (2) 2011.04.29
U-헬스케어  (0) 2011.04.08
스마트 워크(Smart Work)  (4) 2011.03.24
소셜커머스의 몇가지 비즈니스 모델  (0) 2011.03.17
SNS에 대하여  (0) 2011.03.14
Posted by 모르는남자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